상기차량은 운행중에 냄새가 나며

엔진룸에서 영기가 간혹 올라온도가 하여서

입고된 모닝 차량입니다.

 

입고될당시 본넷을 열고 보니 영기가 날만한곳이 없어서

차량을 리프트에 올려서 보니

엔진오일 누유가 크랭크 리데나에서

발생하여서 배기관(소음기)로 흘러서

배기관에 열로 인하여 영기가 올라온곳으로 보여지며

엔진오일량을 보니 게이지에

오일량이 찍히지가 않은 상태였습니다.

 

 

 

 

위에 사진은 엔진오일이 누유되고있는 부분입니다.

 

 

 

 

 

 

 

 

위에 사진은 크랭크 리데나인데

사진상 빨간색 점이 있는 부분에

높낮이 차이를 보시면 왜 문제가 생긴것인지

이해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크랭크 리데나 교환은 밋션을 탈착해야만이

교환을 할수가 있습니다.

엔진에 있는 크랭크 리데나 탈착한상태입니다.

 

리데나 장착을 하고나서 다시금 손상이

없게 하기위해서 조치를 취하고 찍은 사진입니다

이렇게 하면 절대로 빠지지 않죠

 

위에 사진을 보시면 이해할수가 있을까하는 생각이 들지만

사진상 보고서 이렇구나하고 하는정도만

이해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상기차량은 후진하다가 기중에 접촉하여

뒷유리가 손상됨과 동시에

트렁크가 찌그러 져서 뒷유리교환을

하고자 입고된차량입니다.

 

하지만 뒷유리를 장착을 할려며 트렁크에 손상된부분을 펴야

유리를 장착할수가 있습니다.

고객분은 비용이 많이 들어가니

뒷유리만 교환을 원하시더군요.

그래서 연습도 할겸 해서

트렁크 판금은 해드리지만

약간 판금 한자국이 남는다고 얘기하고나서

로드덴트와글로우 덴트로 피기로 했죠.

 

 

 

 

일하다보니 작업사진만 나오고 완성된 사진은 없네요.

작업완료것은 그리 잘나오지는 않았지만

나름 만족한 상태였다고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상기차량은 초기 시동이 안되어서

점프하여 시동을 걸고 나서

입고된차량입니다.

일반적으로 점프로 인하여 시동이 걸린다면

배터리나 알터네이터에 불량에 의해서

시동이 안걸리는경우가 발생을 하는대

이차량의경우 배선의 문제로 인하여

시동이 걸리지 않은 경우였습니다.

 

 

 

 

 

일반적으로 마이너스 본선의 경우 저항이 과다하게 걸릴경우

초기시동시에 문제를 발생 시킬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교환을 하거나 스타트 모터를 교환을 해보거나

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을 하죠 요번처럼 접지 선에서 문제가

생길경우 접지선에 저항이 얼마나 걸리는가를

확인해봐야 정확한 진단이 나올것입니다.

 

 

상기차량은 스타렉스 차량으로

소음이 발생을 하여서 입고된차량인데

소음에 원인은 에어컨 컴프 지지대에서 난것인데

이것을 보면서 보니 로워암에 손상이 심하였지만

에어컨 지지대 소음이 커서 모르고 운행을 하셧던

분이셧습니다.

 

 

위에 동영상을 보시면 로워암 뽈이 위아래로 움직이는것이

보일것입니다.

이렇게 유격이 많이 발생을 하면 안전에도 문제가 생길수

있는 요지는 발생을 합니다.

 

 

 

 

 

 

 

 

로워암교환을 하고나서는 꼭

휠얼라이먼트로 하체 교정을 해줘야합니다.

 

 

상기차량은 타이밍 밸트 교환시기가 되어서

입고된 차량입니다.

타이밍밸트라는것은 교환시기에 교환을하는것이

2차적인 피해을 방지할수있으며

편하게 운행을 하실수가 있는

부품입니다.

만약 밸트 손상으로 이어진다면

엔진 헤드에 손상을 가해서 비용적인 면이

상당히 많이들어갑니다.

 

 

 

상기차량은 갑자기 엔진소리가

시끄러워져서 입고된차량입니다.

차량의 소음이란 여러가지가 있으나

이차량처럼 풀리고착으로 소음이

나는경우도 종종 있으니 아래 동영상을 보시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동영상을 보시면 손으로 돌렸을때 구품은 손으로 안돌아가며

신품의경우 쉽게 돌아가는것을 보실수가 있을것입니다.

손으로 안돌아가면 차량은 고속으로 회전을 하는데

문제가 된다는것은 당연한 것이겠지요!

 

 

상기 차량은 운행중에 엔진에 떨림 심하여서

입고된 차량입니다.

엔진에 떨림에 원인은 열러가지가 있으나

그중에 제일로 많이 발생하는것이

점화계통 손상으로 인하여 엔진에 떨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위에 동영상은 점화계통을 수리하고 나서입니다

 

 

위에 동영상은 점화계통을 수리하기전입니다.

 

 

 

 

 

동영상을 보시면 엔진에 떨림이 어느정도 인지 분간 하시기가

좀어려울수도 있습니다.

점화계통 손상이 되면 이런 증상이 일어나는 구나하고

이런증상이 있으면 이런 부분을 점검을

받아야겠다하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상기차량은 운행중에 화물차량과

접촉사고로 인하여 보험처리를 하였습니다.

 

접촉사고의경우 서로 자잘못을 가리기보다는

먼저 사고로 인하여여 인사사고가 없는지를

물어모는것이 사람으로써의 도리가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그럼 자잘못을 따질려고 싸우는경우가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아래 보이는 사진은 문짝교환을 한 차량입니다.

 

 

 

 

 

 

 

 

 

 

 

차량의 사고가 나서 보험처리를 하는경우

내과실여부를 많이 따져서 보험 처리를 해야할찌를 결정을 하는데

이런부분은 나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따줘봐야합니다.

그래야 보험료 할증과 할인을 생각할수가 있교

어떻게 처리를 하냐에따라서

내사비처리가 좋은지 아니면 보험처리가

좋은지를 알아야합니다.

이런저런 경우를 잘따져서 보험처리를 하시기 바랍니다.

+ Recent posts